자격증

Azure Fundamentals | AZ-900 | 문제 풀이 #36~40

배인 2024. 10. 22. 17:00

질문 #36

HOTSPOT -

문장을 완성하려면 답변 영역에서 적절한 옵션을 선택하세요.

Hot Area:


Software as a Service(SaaS) 솔루션은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인터넷을 통해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클라우드 모델입니다. 이 모델에서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나 관련 인프라를 설치하거나 유지 관리하지 않으며, SaaS 제공업체가 모든 관리 작업(예: 서버 관리,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보안 패치 등)을 수행합니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를 제공받아 그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하고 필요한 구성을 수행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정답: configuring the SaaS solution

  1. SaaS 모델에서의 역할: SaaS 솔루션은 이미 설치 및 유지 관리가 제공업체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사용자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설정만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Microsoft 365 또는 Salesforce와 같은 SaaS 솔루션을 사용할 때 사용자는 소프트웨어 자체를 설치하거나 운영하지 않으며 단지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설정을 조정하는 역할을 맡습니다.
  2. 다른 선택지의 부적합성:
    • configuring high availability: SaaS 모델에서는 고가용성 설정이 사용자 책임이 아닙니다. 이는 SaaS 제공업체가 관리하는 영역으로, 사용자는 이에 대한 신경을 쓸 필요가 없습니다.
    • defining scalability rules: SaaS에서는 확장성 또한 사용자가 정의하지 않습니다. SaaS 제공업체는 서비스의 확장성을 관리하며 사용자는 단지 제공된 서비스를 사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 installing the SaaS solution: SaaS 솔루션은 제공업체에 의해 설치되고 관리됩니다. 사용자는 소프트웨어 설치 작업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이 옵션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SaaS 솔루션을 구현할 때 사용자가 해야 할 일은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환경을 구성하는 것입니다.

 

 


 

 

질문 #37

여러 서버가 포함된 온프레미스 네트워크가 있습니다.
모든 서버를 Azure로 마이그레이션할 계획입니다.

단일 Azure 데이터 센터가 장기간 오프라인이 되는 경우 일부 서버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솔루션을 추천해야 합니다.

추천에 무엇을 포함해야 합니까?

  • A. 내결함성
  • B. 탄력성
  • C. 확장성
  • D. 낮은 지연 시간

내결함성 (Fault tolerance)

  • 내결함성은 시스템이 특정 구성 요소가 실패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능력입니다. Azure의 여러 데이터 센터(예: 가용성 영역) 간에 서버를 배치하여 한 데이터 센터가 오프라인이 되더라도 다른 데이터 센터에서 서버가 계속 가동되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가용성이 보장됩니다.
  • 특히 Azure에서는 가용성 영역(availability zones)과 같은 기능을 제공하여 동일한 리전에 위치한 여러 데이터 센터 간에 워크로드를 분산함으로써 장애 발생 시에도 서비스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정답: 내결함성

이 시나리오에서 요구되는 것은 Azure 데이터 센터 하나가 오프라인 상태가 되더라도 일부 서버가 계속 가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솔루션입니다. 이 요구 사항은 시스템이 장애 발생 시에도 계속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장애 허용(fault tolerance)과 관련이 있습니다. 따라서 서버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가장 적절한 솔루션은 내결함성(fault tolerance)입니다.

 

다른 선택지의 부적합성:

  • B. Elasticity (탄력성): 탄력성은 시스템이 수요 변화에 따라 자원을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는 고가용성이나 장애 허용을 직접적으로 보장하는 기능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 C. Scalability (확장성): 확장성은 시스템이 더 많은 부하를 처리하기 위해 리소스를 늘릴 수 있는 능력입니다. 확장성은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장애 허용이나 데이터 센터 오프라인 상태와는 관련이 없습니다.
  • D. Low latency (저지연): 저지연은 응답 시간이나 데이터 전송 속도를 의미하며 빠른 응답성이 필요한 상황에서 중요합니다. 하지만 데이터 센터 장애 시 서버 가용성을 유지하는 것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질문 #38

HOTSPOT -

문장을 완성하려면 답변 영역에서 적절한 옵션을 선택하세요.

Hot Area:


public cloud

  •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 환경에서 조직은 자체적인 데이터 센터를 더 이상 유지할 필요가 없습니다. 공용 클라우드는 Microsoft Azure, Amazon Web Services(AWS), Google Cloud와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클라우드 인프라를 운영하고 관리하며, 조직은 필요에 따라 리소스를 사용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이 경우 하드웨어 관리나 물리적인 데이터 센터를 유지할 필요가 없어집니다.

정답: in the public cloud

공용 클라우드(public cloud)를 사용하는 경우, 조직은 물리적인 데이터 센터를 더 이상 필요로 하지 않게 됩니다.

 

다른 선택지의 부적합성:

  • in a private cloud: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특정 조직을 위해 전용으로 설정된 클라우드 환경입니다. 이는 자체 데이터 센터 내에서 운영될 수 있으므로, 이 경우 조직은 여전히 데이터 센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in a hybrid cloud: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온프레미스 인프라(데이터 센터)와 퍼블릭 클라우드를 결합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에서는 여전히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가 존재할 수 있습니다.
  • on a Hyper-V host: Hyper-V는 가상화를 위한 호스트 플랫폼으로, 가상 머신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Hyper-V는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서 가상화 인프라를 운영하는 데 주로 사용되므로 이 경우에도 데이터 센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질문 #39

퍼블릭 클라우드의 두 가지 특징은 무엇입니까? 각 정답은 완전한 솔루션을 제시합니다.

  • A. 전용 하드웨어
  • B. 보안되지 않은 연결
  • C. 제한된 저장
  • D. 계량 가격
  • E. 셀프서비스 관리

Public Cloud(공용 클라우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한 형태로, Microsoft Azure, Amazon Web Services(AWS), Google Cloud Platform(GCP)과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물리적 인프라를 소유하고 관리하며 여러 고객이 네트워크를 통해 이 인프라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다양한 규모의 조직이 IT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최소화하면서 유연하게 컴퓨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Public Cloud의 주요 특징:

  1. 종량제 과금 (Metered Pricing):
    • 공용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 모델입니다. 고객은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자원을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며 사용하지 않는 자원에 대해서는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를 통해 기업은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불필요한 지출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Azure에서는 시간 단위로 가상 머신(VM)의 비용을 청구하며, 필요하지 않은 리소스는 언제든지 중지하거나 삭제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2. 셀프 서비스 관리 (Self-Service Management):
    • 사용자는 클라우드 제공 업체의 포털을 통해 직접 리소스를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개발자가 필요에 따라 VM을 생성하거나, 스토리지 크기를 조정하거나, 네트워크 구성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셀프 서비스 기능을 통해 IT 부서에 의존하지 않고도 빠르게 요구 사항을 반영할 수 있습니다.
    • 사용자는 Azure 포털이나 AWS Management Console을 통해 서버, 데이터베이스, 스토리지 등의 자원을 클릭 몇 번으로 바로 생성할 수 있습니다.
  3. 탄력성 (Elasticity):
    • 공용 클라우드는 자동 확장성을 제공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수요가 증가할 때 자원이 자동으로 확장되고 수요가 줄어들면 자원이 줄어듭니다. 이를 통해 성능 저하 없이 비용 효율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웹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수가 급증할 경우 클라우드는 자동으로 더 많은 서버를 할당하고, 트래픽이 줄어들면 할당된 서버 수를 줄여 비용을 최적화합니다.
  4. 확장성 (Scalability):
    • Public Cloud는 거의 무제한의 자원을 제공합니다. 즉, 조직이 필요로 하는 만큼 스토리지, 컴퓨팅 파워, 네트워크 자원을 확장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언제든지 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물리적인 장비 추가가 필요하지만, 공용 클라우드에서는 간단한 설정으로 자원을 확장할 수 있습니다.
  5. 고가용성 및 재해 복구 (High Availability and Disaster Recovery):
    • Public Cloud는 기본적으로 고가용성(High Availability)을 지원하며, 여러 데이터 센터에 자원을 분산 배치하여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시나리오를 보장합니다.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여러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하나의 데이터 센터에서 장애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데이터 센터에서 서비스가 지속됩니다.
    • 예를 들어 Azure는 가용성 영역(Availability Zones)을 통해 리전 내에서도 여러 물리적 데이터 센터에 워크로드를 분산하여 장애 발생 시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습니다.
  6. 보안 (Security):
    • 공용 클라우드는 강력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Azure와 같은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보안 인증, 데이터 암호화, 네트워크 보안 기능을 제공하여 고객의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또한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최신 보안 패치를 자동으로 적용하여 보안을 유지합니다.
    • Azure의 Azure Security Center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잠재적인 위협을 모니터링하고, 자동으로 보안 권장 사항을 제공합니다.
  7. 전용 하드웨어 대신 공유 인프라 사용 (Shared Infrastructure):
    • 공용 클라우드는 여러 고객이 동일한 물리적 인프라를 공유하여 사용합니다. 각 사용자는 가상화 기술을 통해 자신만의 리소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여러 고객이 동일한 물리적 서버나 네트워크를 공유합니다. 이는 비용 효율성을 높이지만 특정 고급 보안 요구 사항이 있는 경우에는 프라이빗 클라우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8. 글로벌 접근성 및 지리적 분산 (Global Accessibility and Geographic Distribution):
    • 공용 클라우드는 글로벌로 제공되며 다양한 지역에 데이터 센터를 보유하고 있어 전 세계 어디서든 접근이 가능합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지리적으로 가까운 데이터 센터를 선택할 수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동일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Azure는 전 세계에 여러 리전을 운영하고 있어 특정 리전 내에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서비스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합니다.

공용 클라우드의 장점:

  • 비용 절감: 초기 자본 투자 없이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하는 종량제 모델을 통해 IT 인프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 유연성: 리소스를 쉽게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어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자원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 글로벌 확장: 전 세계 어디서나 동일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으며, 지리적으로 분산된 데이터 센터를 통해 빠르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자동화: 탄력적인 리소스 관리와 자동 확장을 통해 IT 인프라 관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공용 클라우드의 단점:

  • 데이터 통제력 부족: 인프라가 클라우드 제공업체에 의해 관리되므로 물리적 서버와 네트워크에 대한 직접적인 통제권이 없습니다.
  • 보안 및 규정 준수 문제: 특정 규제나 보안 요구 사항을 준수해야 하는 조직에서는 데이터가 여러 고객과 함께 공유되는 공용 클라우드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통해 공용 클라우드는 유연하고 확장성이 뛰어난 IT 인프라를 제공하며 다양한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맞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정답: 계량 가격, 셀프 서비스 관리

공용 클라우드의 두 가지 핵심적인 특징은 종량제 과금셀프 서비스 관리입니다.

  1. Metered pricing (종량제 과금):
    • 공용 클라우드는 종량제 모델을 사용합니다. 사용자는 리소스를 사용하는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며 사용량이 증가할수록 비용도 증가합니다. 이는 공용 클라우드의 핵심적인 특징 중 하나로, 유연하고 효율적인 비용 관리가 가능합니다.
  2. Self-service management (셀프 서비스 관리):
    • 공용 클라우드는 사용자가 스스로 자원을 프로비저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셀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합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자원을 바로 추가하거나 제거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클라우드 제공업체의 포털을 통해 직접 관리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의 부적합성:

  • Dedicated hardware (전용 하드웨어): 공용 클라우드에서는 여러 고객이 동일한 물리적 인프라를 공유합니다. 전용 하드웨어는 프라이빗 클라우드나 전용 호스팅과 관련이 있으며, 공용 클라우드의 특징은 아닙니다.
  • Unsecured connections (보안되지 않은 연결): 공용 클라우드는 보안 표준을 준수하며 다양한 보안 메커니즘을 제공합니다. 보안되지 않은 연결은 공용 클라우드의 특징이 아니며, 실제로 많은 공용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유지합니다.
  • Limited storage (제한된 저장소): 공용 클라우드는 거의 무제한에 가까운 저장소를 제공합니다. 사용자가 요구하는 만큼 스토리지를 쉽게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저장소는 제한되지 않습니다.

 

 


 

 

질문 #40

HOTSPOT -

문장을 완성하려면 답변 영역에서 적절한 옵션을 선택하세요.

Hot Area:


Azure로 웹사이트를 마이그레이션할 때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들은 비용, 확장성, 보안, 성능고가용성과 같은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은 웹사이트가 클라우드 환경에서 원활하게 동작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사용자의 요구에 맞게 최적화될 수 있도록 합니다.

  1. 비용 (Cost)
    • Azure로 웹사이트를 마이그레이션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비용 관리입니다. Azure는 종량제(pay-as-you-go) 모델을 채택하고 있어, 사용자가 실제로 사용한 리소스에만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비용을 관리하려면 다음을 고려해야 합니다
      • 컴퓨팅 비용: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가상 머신(VM), Azure App Service, 컨테이너와 같은 컴퓨팅 리소스는 사용량에 따라 비용이 발생합니다. 트래픽이 증가하면 더 많은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비용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스토리지 비용: 웹사이트의 데이터, 로그, 백업 등을 저장하기 위한 스토리지 용량에 따라 비용이 발생합니다. Azure Storage, Azure SQL Database 등 다양한 저장 옵션이 있으며, 각 서비스는 저장 용량과 성능에 따라 비용이 다릅니다.
      • 네트워크 비용: 네트워크 트래픽에 따라 비용이 발생합니다. 특히 아웃바운드 트래픽(인터넷으로 나가는 트래픽)에 대한 비용이 청구되므로 웹사이트 방문자가 많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는 경우 비용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추가 서비스 비용: Azure는 모니터링, 보안, 부하 분산, 백업 등과 같은 추가 기능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서비스는 웹사이트 운영을 최적화하는 데 필수적이지만,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선택해야 합니다.
  2. 확장성 (Scalability)
    • Azure는 확장성을 제공하여, 트래픽의 증가에 따라 리소스를 자동으로 확장하거나 트래픽이 감소할 때 리소스를 축소할 수 있습니다. 확장성은 웹사이트가 갑작스러운 트래픽 증가에도 성능 저하 없이 대응할 수 있도록 보장해 줍니다.
      • 수평 확장 (Horizontal Scaling): 추가적인 서버나 VM을 추가하여 트래픽을 분산 처리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웹사이트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증가할 때 더 많은 서버를 추가하여 부하를 분산시킵니다.
      • 수직 확장 (Vertical Scaling): 개별 VM이나 리소스의 성능을 높이는 방법입니다. 기존 리소스의 CPU, 메모리, 저장소 성능을 높여서 더 많은 트래픽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 Azure의 자동 확장(Autoscaling) 기능을 사용하면 트래픽이나 리소스 사용량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성능을 자동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3. 보안 (Security)
    • Azure로 웹사이트를 마이그레이션할 때는 보안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보안 측면을 고려해야 합니다.
      • 데이터 암호화: 저장 중이거나 전송 중인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해 암호화가 필수적입니다. Azure는 데이터의 저장과 전송 과정에서 모두 암호화를 지원하여 데이터를 보호합니다.
      • 네트워크 보안: Azure는 가상 네트워크(VNet), 네트워크 보안 그룹(NSGs), Azure 방화벽 등을 통해 네트워크 계층에서 트래픽을 제어하고 불법적인 접근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 아이덴티티 및 접근 관리: Azure Active Directory(Azure AD)멀티 팩터 인증(MFA)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 및 권한 관리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근을 보호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DDoS 보호: Azure는 DDoS 공격을 방어하기 위한 기본적인 보호 기능을 제공하며, 트래픽 패턴을 모니터링하여 공격을 자동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4. 성능 (Performance)
    • 성능은 웹사이트가 사용자에게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성능을 최적화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전송 네트워크(CDN): 전 세계에 있는 사용자에게 빠르게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Azure CDN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CDN은 전 세계에 분산된 서버를 통해 콘텐츠를 캐싱하여 웹사이트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 Azure Traffic Manager: Azure Traffic Manager는 여러 지역에 걸쳐 트래픽을 분산시키고, 지연 시간이 가장 짧은 서버로 트래픽을 라우팅하여 성능을 향상시킵니다.
      • 캐싱: 자주 요청되는 데이터를 Azure Redis Cache와 같은 캐시 서비스를 통해 저장하고 빠르게 제공함으로써 웹사이트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5. 고가용성 (High Availability) 및 재해 복구 (Disaster Recovery)
    • Azure는 웹사이트의 고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고가용성은 웹사이트가 장애나 다운타임 없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 가용성 영역(Availability Zones): Azure의 여러 물리적 데이터 센터 간에 리소스를 분산 배치하여 한 데이터 센터에 장애가 발생해도 다른 데이터 센터에서 서비스를 계속 제공할 수 있습니다.
      • 재해 복구(Disaster Recovery): Azure는 Azure Site Recovery와 같은 재해 복구 솔루션을 제공하여 비상 상황에서도 데이터를 복구하고 서비스를 빠르게 재개할 수 있습니다. 여러 지역에 백업 및 복제본을 유지함으로써 시스템 장애나 자연 재해로부터 서비스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6. 데이터 전송 및 마이그레이션 (Data Transfer and Migration)
    • Azure로의 마이그레이션 중 기존 웹사이트 데이터를 Azure로 전송하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Azure는 다양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도구를 제공하여 온프레미스에서 클라우드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습니다.
      • Azure Migrate: 서버,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을 Azure로 마이그레이션하기 위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 Data Box: 대량의 데이터를 물리적으로 전송해야 할 때 Azure Data Box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Azure로 웹사이트를 마이그레이션할 때는 비용, 확장성, 보안, 성능, 고가용성, 데이터 전송 및 마이그레이션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러한 요소들을 신중하게 계획하고 관리함으로써 클라우드 환경에서 웹사이트를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습니다.


Azure와 같은 공용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한 자원에 따라 비용을 부과하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Azure로 웹사이트를 마이그레이션하면 다음과 같은 요소에 대해 월별 사용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1. 컴퓨팅 리소스 비용:
    • 웹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위해 Azure에서 가상 머신(VM), App Service, 또는 컨테이너를 사용하면, 해당 리소스의 사용 시간에 따라 비용이 발생합니다. Azure는 사용한 시간만큼 청구하기 때문에 서버를 계속 실행하거나 유지하는 동안 월별 비용이 지속적으로 발생합니다.
  2. 스토리지 비용:
    • 웹사이트 데이터(예: 웹 페이지 파일, 데이터베이스, 로그 파일 등)를 저장하기 위해 Azure 스토리지 서비스를 사용하게 되면 사용한 스토리지 용량에 따라 비용이 부과됩니다. Azure는 사용한 데이터 저장소에 대해 월별로 청구하며, 더 많은 데이터가 저장될수록 비용이 증가합니다.
  3. 네트워크 트래픽 비용:
    • 인바운드 트래픽(Azure로 전송되는 데이터)은 대부분 무료지만 아웃바운드 트래픽(인터넷으로 나가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즉, 웹사이트 방문자가 웹사이트에서 많은 데이터를 다운로드하거나 사용하면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른 추가 비용이 청구됩니다.
  4. 추가 서비스 비용:
    • 웹사이트 성능 모니터링, 백업, 보안 서비스(예: Azure Security Center), 부하 분산 서비스 등과 같은 추가 서비스를 이용하면 이에 대한 추가 월별 비용이 발생합니다.

정리:

  • 공용 클라우드의 과금 방식종량제(pay-as-you-go)로,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합니다. 이는 웹사이트의 트래픽, 컴퓨팅 리소스 사용량, 스토리지 용량, 네트워크 트래픽 등에 따라 월별로 비용이 계산됩니다.
  • Azure는 이러한 리소스의 유연한 확장성을 제공하지만, 모든 사용량은 월별로 비용이 청구되므로 월별 사용 비용을 지불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 Azure로 웹사이트를 마이그레이션할 때 발생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사용량 기반 월별 비용입니다.

정답: pay monthly usage costs

Azure와 같은 공용 클라우드 서비스는 사용량 기반 과금 모델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즉, Azure에 웹사이트를 배포하면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의 사용량에 따라 월별로 비용을 지불하게 됩니다. 웹 사이트의 트래픽, 데이터 전송량, 스토리지 크기 등에 따라 비용이 달라지며, 사용량이 많아질수록 비용도 증가할 수 있습니다.

 

다른 선택지의 부적합성:

  • Deploy a VPN (VPN을 배포해야 한다): VPN은 일반적으로 보안이 필요한 내부 네트워크와 Azure 간의 연결을 설정할 때 사용되지만, 공개 웹사이트의 경우 VPN을 통해 연결할 필요는 없습니다. 웹사이트는 퍼블릭하게 인터넷을 통해 접근 가능해야 하므로 VPN은 불필요합니다.
  • Pay to transfer all the website data to Azure (웹사이트 데이터를 Azure로 전송하는 데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대부분의 경우 Azure로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것은 비용이 청구되지 않습니다. 다운로드(아웃바운드 트래픽) 시에만 비용이 발생합니다. 따라서 웹사이트 데이터를 Azure로 전송하는 것 자체에 대해 비용을 지불할 필요는 없습니다.
  • Reduce the number of connections to the website (웹사이트 연결 수를 줄여야 한다): Azure는 자동 확장성 기능을 제공하므로 웹사이트의 트래픽이 증가하더라도 확장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연결 수를 제한할 필요가 없으며 오히려 Azure를 사용하면 더 많은 사용자가 동시에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